기술독립군 홈페이지
/
인문학 강의
Share
인문학 강의
기술독립군TV
강의목록
소통에 기반한 인간 삶의 최고 상태는 경험이다. 아날로그적 경험은 인간에게만 허락된 특권이다.
이성적인 머리보다, 감성적인 심장으로 느낀 경험은 감동-감응-감탄-감격 프로세스로 손발이 즉실천하게 만든다.
경험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1)'나는 (뇌로)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데카르트)'는 자연지능에서 인공지능이 강조되며 AI시대를 맞이했다.
2)하루 평균 뇌는 5만가지 생각(想)을 하지만 특징은 한번에 하나씩만 한다.
3)마음이 믿음(信)에 따라 사랑(긍정)과 두려움(부정) 중 선택한 게 정(情=心+靑)이다.
4)생각(想)+믿음(情)=느낌(感)이 경험이며, 생각을 내려놓는 게 명상이다.
5)경험 정도에 따라 감동-감응-감탄-감격이 있다(感=전부함咸+마음심心: 마음이 전부다)
6)'나는 (심장으로) 느낀다 고로 존재한다(영혼육 삼위일체)'는 AI시대를 넘어 느끼고 손발로 경험하는 문화시대를 이끌 것이다
7)직선거리 30cm의 기적(Head->Heart, 지식->지혜)은 오롯이 경험이 만든다.
※사전 학습과 사후 피드백(배운 점, 느낀 점, 실천할 점) 참여도 높은 2분을 선정하여 K-공철학 책을 타인에게 기부하여 다함께 참여토록 활성화 합니다(돈 가는 곳에 마음간다)
空철학 50강: 경험
空철학 50강: 경험
DigiLog는 2006년 이어령교수가 IT시대의 Digital과 인간과 자연관계를 대표하는 Analog를 융합한 개념으로 처음 제시했다.
이는 디지털 기술의 발달 속에서 아날로그적 가치나 경험이 재조명되거나, 디지털 제품 및 서비스에 아날로그적 감성을 융합하는 현상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20여년이 지난 현재 K-공철학 관점에서는 Digital Transformation(DX)과 Analog Transformation을 아우르는 디지로그로 혁신을 통한 가치창출 입장에서 확대 적용하고자 한다.
인간의 삶은 의식주+知好樂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지호락은 논어 옹야편에서 나온 개념으로 '아는 것보다 좋아하는 것이 한 수 위이고, 좋아하기만 하는 것보다 즐기는 것이 상수'라는 뜻이지만, 배우고(知) 좋아하고(好) 즐기는(樂) 모든 것을 문화라는 광의로 본다.
이러한 문화는 디지털과 아날로그가 융합된 디지로그로 표현되며, 2030년경 재확산될 메타버스의 가상과 실제 세계, 현재는 ICT 기술과 인간관계, 이성과 감성, 차가운 기술과 따뜻한 정/믿음이 현재 온/오프라인 플랫폼에서 활발하게 구현되고 있다.
※사전 학습과 사후 피드백(배운 점, 느낀 점, 실천할 점) 참여도 높은 2분을 선정하여 K-공철학 책을 타인에게 기부하여 다함께 참여토록 활성화 합니다(돈 가는 곳에 마음간다)
249차 본근한(3ㄴ): DigiLog
1)본질:
Digital과 Analog의 융합 '개념'
2)근거:
2006년 중앙일보 신년호 이어령교수
3)한계:
정태적 '개념'에서 동태적 '삶'으로 적용하려면 음양법칙 피드백(Why사는가? How살아야 하나? What위해 사는가?)으로 지혜 깨침이 필수
空철학 49강: 디지로그(DigiLog)
空철학 49강: 디지로그(DigiLog)
플랫폼은 인문학+기술로 표현할 수 있으며, 데이터부터 의사결정(마음)까지 모든 단계가 동태적으로 살아 움직이는 장소이다.
플랫폼은 인간이 각자의 인맥, 지혜, 지식, 노하우 및 이해관계자를 끌어들여 일하고 즐기는 온/오프라인 마당을 의미하며 다음과 같다.
1.
물리적 구조물: 철도 승강장, 원유생산 플랫폼, 우주선 발사대
2.
제조 및 생산 활동 기반: 자동차 등 H/W를 생산하는 생산 플랫폼이나 (방문) 서비스 네트워크
3.
정치 사회적 합의: 정당의 강령이나 정견, 국가 이념, 조직의 사명
4.
IT 인프라: 윈도우, 리눅스와 같은 운영체제(OS), 스마트폰의 앱스토어(Apps), 쇼핑몰
People & Technology가 융합된 플랫폼은 개인/사회적 혁신 합의(조직 사명/비전)와 H/W, S/W, 서비스의 총합을 의미한다.
물리적으로 일상 업무를 지원하는 기술(Hardware, Software)과 인문학으로 전통/문화/역사가 있으며, 플랫폼의 가장 바람직한 모습은 인문학과 기술이 융합되어 일상의 업무를 기술(의식주)로 추진하면서 이를 즐기는 문화(지호락)가 융합된 상태이며 이는 사람으로 하여금 자기 분야에서 창조성을 발휘하는 문화인으로 재발견-재평가 과정을 거친다.
진정한 플랫폼은 의사소통의 표준과 규범으로 개방성과 운명/경제공동체적 성격을 가지며, 작고 미세한 차이를 수용하고 존중하는 (의존과 독립을 넘어) 상호의존적 상태이다.
※사전 학습과 사후 피드백(배운 점, 느낀 점, 실천할 점) 참여도 높은 2분을 선정하여 K-공철학 책을 타인에게 기부하여 다함께 참여토록 활성화 합니다(돈 가는 곳에 마음간다)
248차 본근한(3ㄴ): 플랫폼
空철학 48강: 플랫폼
空철학 48강: 플랫폼
☆데이터 중심 AI(Data-centric AI)가 향후 과제이다(앤드류 옹, AI 4대 석학) ☆향후 30년 DT(Data Technology)시대가 될 것이다(마윈, 알리바바 창업자) ☆쓰레기 들어가면 쓰레기 나온다(GIGO: Garbage In, Garbage Out)
데이터가 중요하다는 말은 누구나 쉽게 하지만 투자 등 행동으로 직접 하지는 않았다. 알고리즘 개발에 사활을 거는 빅테크 중 최근 Meta가 140억불에 SCALE AI사(AI 학습을 위한 '데이터' 라벨링 전문)를 인수하며 데이터 시대에 본격 들어섰다.
지식 축적의 근간인 Data Age가 도래했지만 특히 비정형데이터(97%이상)가 중요하며,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AI시대에는 목적에 맞는 정합성 데이터가 관건이다.
AI 세상 성공을 58명 기술독립군 전문가 의견을 바탕으로 경험/지식 : 데이터Set : 솔루션 비중(%)을 확인한 바 아래와 같다.
1)경험/지식이 최고 중요하다는 인식 60%
2)데이타가 솔루션보다 중요하다는 인식 80%
3)개발자는 솔루션 비중이 제일 크다고 인식
4)통합+균형 요소가 없는 AI는 Risk 크다
인터뷰 요약 1)손정의가 문재인대통령 만나 강조한 첫째 AI, 둘째 AI, 셋째 AI를 위한 조언 대신에 첫째도 (Proper) Data, 둘째도 (Reliable) Data, 셋째도 (Continous) Data이어야 한다
2)y=f(x), 열매=땅(씨앗): 땅이 아무리 옥토라도 쭉쟁이 씨앗이 심어지면 열매가 안열린다.
空철학 47강: 데이터
空철학 47강: 데이터
미국 나스닥 상장 유망기업군은 기업가치와 투자규모 측면 에너지와 IT 두 분야 기업군들이 대부분 차지한다. 하지만 빅테크 IT기업들도 데이터센터에서의 에너지 의존도가 심화되어 지속 성장에는 장애요인이다.
지구 생명체에게 충분한 23,000TWy의 Solar Energy가 매년 공급되며, 인류는 2009년 기존 화석연료 포함하여 16TWy를 사용하였고, 2050년 경에는 28TWy가 필요하다.
Stable, Accessible & Enough Energy인 Solar Energy를 사용하는 검증된 기술로서 SOFTPV 기술을 소개하고, DX(Digital Transformation)와 AX(AI Transformation)를 넘어 EX(Energy Transformation)가 되는 가능성을 알아본다.
특히 에너지는 산업혁명에 필요+충분조건이다 1)1차 산업혁명: 영국 Lunar Society 사회혁신 분위기+석탄 에너지 2)2차 산업혁명: 미국 프론티어 정신+석유 에너지 3)3차 산업혁명: 미국 실리콘밸리 컴퓨터 혁신 마인드+전기 에너지 4)4차 산업혁명: 신재생 에너지의 핵심인 Solar Energy와 기솔독립군(굴레방 소사이어티)의 사회혁신 관점에서 역할과 책임을 살펴본다.
아무리 에너지가 풍부하고 기술이 발전해도 개개인의 자기혁신과 주변과의 소통 및 협업으로 사회혁신의 생태계가 없으면 4차 산업혁명은 성공할 수 없기에, 개인혁신의 관점이동 측면 K-공철학(부제: 인문학+기술의 통합+최적화)이 2024년 발간되었고, 60강 예정 토요 정기웨비나를 46강째 진행하고 있다.
화석연료 사용억제로 ESG 활성화에 의한 지구 살리기는 인류의 생존문제이며, 에너지는 환경과 직결되는 생존의 문제다.
※사전 학습과 사후 피드백(배운 점, 느낀 점, 실천할 점) 참여도 높은 2분을 선정하여 K-공철학 책을 타인에게 기부하여 다함께 참여토록 활성화 합니다(돈 가는 곳에 마음간다)
246차 본근한(3ㄴ): 에너지
1)본질:
모든 길이 로마로 통했듯이, 모든 기술은 에너지로 통한다
空철학 46강: 에너지
空철학 46강: 에너지
창조 열매는 생각, 말과 행동이라는 씨앗에 의해 만들어진다(인연과보). 씨앗 본보기로 열매를 처음부터 좋은 방향으로 바꾸어야 한다.
1)말을 할 때는 사실인지, 말할 때인지 확인한 후 부드럽게 말한다.
2)어떤 말이라도 자신에게 먼저 영향을 미치게 됨을 알고 말한다.
3)확인: 만일을 위해 다시 한 번 여쭙겠습니다.
4)거절: 매우 죄송합니다만, 저로서는 약속하기가 어렵습니다.
5)부탁: 죄송합니다만 도와주실 수 있으신가요?
6)대접: 융숭한 대접을 받았습니다. 다음에는 제가 대접하겠습니다
7)문제 발생: 정말로 걱정됩니다. 제가 도울 일이 없을까요?
8)연락 지연: 늦어서 걱정했습니다. 지금이라도 연락이 되어서 다행입니다.
9)취미 생활: 그것을 하는 동안 행복했으면 좋겠습니다.
10)선물: 당신이 준 것이라 저에겐 특별합니다
空철학 45강: 본보기
空철학 45강: 본보기
1)자녀를 뒷바라지하는 목적에 대해 부부간에 의견일치를 한다
2)스스로 의식주를 해결할 수 있도록 자립심을 길러 준다
3)한 가지 분야는 남보다 탁월하도록 가르친다
4)세상을 변화시키며 공헌하는 위대한 자녀가 되도록 형편에 맞게 뒷바라지 한다
5)현명하고, 지혜롭고, 예의바르고, 성실한 자녀와 인연맺음을 감사한다
6)꿈을 크게 가질수록 노력도 많이 하게 되어 뛰어난 능력자가 됨을 가르친다
7)어떤 것도 대가를 지불하게 하여 공짜가 없음을 깨닫도록 가르친다
8)근검절약하고, 감사하며, 존중하는 생활 습관을 길러 준다
9)최고의 교육은 부모가 솔선수범하는 것임을 보여준다
10)상대의 관점에서 듣고 보는 대화를 자녀와 자주 한다
※사전 학습과 사후 피드백(배운 점, 느낀 점, 실천할 점) 참여도 높은 2분을 선정하여 K-공철학 책을 타인에게 기부하여 다함께 참여토록 활성화 합니다(돈 가는 곳에 마음간다)
空철학 44강: 자녀교육
空철학 44강: 자녀교육
우주에서 가장 귀한 게 자기와 세상과 인연이다. '나 아닌 것'(사람, 사물, 사건)은 모두 '인연'이다. 가족이든, 나무든, 반려동물이든, 프로젝트든 '관계'를 정리정돈 잘해야 행복해진다.
1)일방적 지시보다 상대를 존중하여 스스로 책임지고 하도록 돕는다(Helpers' High).
2)모든 일에는 반드시 반작용이 있음을 알고 저항을 받아들인다.
3)상대 눈높이 수준에 맞는 조언과 학습콘텐츠를 활용한다.
4)자기 나름대로 성장하고 발전하도록 감정을 존중한다.
5)행복을 느끼는 일을 함께 하면서 서로 나누고 사랑한다.
6)매일매일 칭찬하고 격려하여 자신감을 얻도록 용기를 준다.
7)상대의 부정적인 면은 ‘그러나’로 시작하여 긍정적인 측면을 먼저 발견한다.
8)입꼬리를 올린 부드러운 미소와 자비스런 표정으로 언제나 상대를 대한다.
9)서로 연관되어 있음을 알고, 전체를 이롭게 하는 방향으로 행동한다.
10)인연 따라 변함을 알고 지금+여기+자기(天시간 地공간 人인간) 일에 집중한다.
空철학 43강: 인연관계
空철학 43강: 인연관계
1.
명품실력 가진 최고수 성공조건
1)분명한 목표: '대원' 꿈(3ㅁ)
2)확고한 실력: '무심' 참+힘(3ㅁ)
3)자기 관리(몸 통제): '감사' 습관
4)외부 관계(열린 마음): '영감' 소통
5)해내는 힘: '보답행' 즉시/반드시/될 때까지
2.
마음(S/W)-심력(心力)
1)성실성: 자기 자신 및 타인과 (시간, 돈, 업무 등) 약속을 지키고 불변 원칙 따르기(자발적 행동)
2)성숙성: 배려(상대방 먼저, You First)+용기(확인과 거절) 예)만일을 위해 다시 여쭙겠습니다(확인) 매우 죄송합니다만, 저로서는 약속하기가 어렵습니다(거절)
空철학 42강: 명품실력(明品實力)
空철학 42강: 명품실력(明品實力)
1.
지혜는 무(분별)심에서 나온다. 분별하는 마음이 갈등과 고통의 원인이다.
2.
너와 나를 분별하고 분리하고, 비교하니 많다/적다, 좋다/나쁘다,… 등으로 확산된다.
3.
무분별지(혜)를 반야라고 하고, 이미 해결되어 더이상 바램이 없는 최상 지혜를 반야바라밀이라 한다
4.
분별하다가 항문을 닫고 입꼬리를 올리며 ‘덕분입니다/감사합니다/보답합니다’ 말하면 즉시 해결됨을 체험한다(무심 상태)
5.
무심지혜의 기능
1)무분별지로 쉽고 간단하게 판단(관점이동, 정리정돈)한다
2)모든 생명체와 쉽게 직접 소통(불생불멸, 파동성) 한다
3)존재 자체로 충분한 관계(온전완전)를 느낀다
4)모든 문제는 이미 해결(전지전능)되어져 있음을 느낀다
空철학 41강: 지혜의 힘
空철학 41강: 지혜의 힘
인간은 나면 죽는다. 죽는다는 사실을 인식하기 시작하면서 죽기 전까지 풍요+행복+건강한 삶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려고 시도하는 게 물질 측면 보험이다. 정신 측면 마음공부는 '자기구제' 보험과 같다
1)노후대책은 늙음을 걱정하는 게 아니라 지금(Now)+여기(Here)에서의 삶을 더 익어가게 만드는 것이다.
2)삶이 계속 좋아진다면(日新又日新) 눈감는 순간이 가장 아름답고 행복한 순간이 된다.
3)서로가 영향을 주고 받기에 인간관계를 정리정돈하며 잘하기 시작한다(던바의 수: 150명 이하)
4)영적(靈), 정신적(魂), 신체적(肉), 사회적으로 균형이 잡힌 건강을 유지해야 한다(영혼육 삼중구조가 각각 별도로 작동하는 것이 아닌 삼위일체로 '자기구제'를 하면 자기가 바라보는 세상도 바뀐다)
5)자신의 가치와 잠재능력을 알고 발휘하도록 리더십과 팔로워십을 가족과 주위 분들에게 몸으로 보인다.(솔선수범: 등보이기)
1.
OpenMind로 공감적 경청과 긍정적 질문으로 스스로 답을 찾도록 주변 분들에게 보여준다.
7)몸과 마음을 재충전하는 진정한 휴식을 취한다.
8)유머와 포용력과 지혜로 매력이 넘쳐 누구나 끌리도록 한다.
※사전 학습과 사후 피드백(배운 점, 느낀 점, 실천할 점) 참여도 높은 2분을 선정하여 K-공철학 책을 타인에게 기부하여 다함께 참여토록 활성화 합니다(돈 가는 곳에 마음간다)
空철학 40강: 노후대책
空철학 40강: 노후대책
부자 되기를 누구나 원한다. 하지만 부자가 되는 방법을 알고 실천해야 부자가 된다.
1)100% 믿는 마음(信心): 이 세상 모든 것은 마음이 만든다(일체유심조)
2)돈생명체를 사랑하고, 간절히 원하고, 받을 자격이 있고,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쿨하게 주고받는 태도를 가져야 부자가 된다.
3)돈도 살아있는 생명체이므로 눈과 발, 날개가 있기에 따라오고 날라오게 해야 한다.
4)물질과 영성이 이미 갖추어져 있기에 빛나게 활용하도록 핸들(방향)과 브레이크, 엑셀레이터(방법)를 잘 사용해야 한다
5)많이 가진 자가 아니라, 많이 나누는 자가 부자이다.
6)막힌 곳을 뚫고, 꼬인 것을 풀어주는 게 돈생명체이기에 사람처럼 소중히 해야 한다.
7)분명한 목표와 비밀유지로 상상을 현실로 만들 수 있음을 알고 돈생명체를 활용해야 한다.
8)남들이 가지 않은 길을 먼저 도전해야 한다.
9)인정받는 날이 오면 대박 터짐을 알고 끈기있게 발전시켜야 한다
10)나부터 잘되려고 노력하면 주위에서 도와주지 않음을 깨닫는 관점이동을 해야 한다
空철학 39강:
空철학 39강: 부자연습
우주 만물은 빛에서 나오며, 빛은 입자와 파동(에너지)으로 구성되어 있다. 돈은 눈에 보이지 않는 에너지다. 살아 움직이는 동식물만 '생명체'라는 한정된 시각에서 벗어나게 것은 양자역학이 2022년 노벨상을 받음으로써 증명되었다.
우주 만물에서 일어나는 모든 변화의 핵심은 전자의 전기적 불안정성 이동성에 있다. 전자는 끌어당김의 특성이 있다. 인간 등 모든 동식물이 원자로 구성되듯이 돌, 볼펜 등 모든 무생물체도 원자 즉, 양성자와 전자로 구성된다. 전자 특징은 끌어당김 이동성이 있는 에너지(氣)이다.
돈생명체는 氣이고 에너지다. 확실하게 믿는(信) 마음(心)이 에너지(氣)를 만들어(일체유심조) 흐르면서(運) 생활(命)을 바꾼다(신+심+기+운+명 프로세스)
마음이 돈을 만든다(일체유심조) 돈생명체를 어떤 시각에서 보고 생활하느냐에 따라 돈과의 인연과보가 만들어진다.
1.
무(분별)심 상태에서 항문을 닫고 입꼬리를 올리는 본인 노력에 따라 주위 도움으로 돈이 흘러 나온다
2.
공기 물 주위 도움 등 만사에 감사하면 돈도 파동 에너지이기에 불안정한 돈생명체를 끌어당긴다.
3.
돈생명체를 빛나게 활용하면 지속적으로 날라온다.
돈이 생명체임을 이해하고 인정하고 존중하면 풍요의 기적이 일어난다.
※사전 학습과 사후 피드백(배운 점, 느낀 점, 실천할 점) 참여도 높은 2분을 선정하여 K-공철학 책을 타인에게 기부하여 다함께 참여토록 활성화 합니다(돈 가는 곳에 마음간다)
238차 Webinar 본근한(3ㄴ)
본질:
돈생명체도 에너지이고 빛이다
空철학 38강: 돈생명체
Lo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