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空철학 32강: 운명공동체

우리는 How 운명공동체임을 알 수 있나? 달에서 지구를 보면 즉시 안다. 마찬가지 우리 몸과 36조개 장내 미생물도 같이 살고 같이 죽어야만 하는 운명공동체이다. 사대성인 가르침 One Word로 정리하면 운명공동체 기반 가르침이다. -부처: 不二(둘이 아니네) -공자: 恕(서: 한 몸이니 상대 용서하자) -소크라테스: 善(선: 상대 이롭게 하자) -예수: 愛(애: 원수조차도 사랑하라) 위기의 인간사회가 운명공동체로 되려면 독점에서 공유로, 폐쇄에서 개방으로, 대립에서 조화로, 갈등에서 협력으로, 편중에서 균형으로, 개인에서 전체로 관점이동이 되어야 한다. World Wide Web.(www.)의 의미는 -World: 세상 전체가 연결 -Wide: 모든 것에 개방 -Web: 거미줄처럼 얽힘 -Dot(.): 점->선->면, 과거->현재->미래 지식 관점 머리 연결(Head to Head)을 지혜 관점 심장 연결(Heart to Heart)만이 함께 파멸할 수도 있는 운명공동체의 생존 대안이다. What을 심장으로 깊이 깨달아야 하나? -나 아닌 것이 도와준 '덕분에' 내가 살아간다. -덕분인 줄 아는 주체가 자기 마음이다. -분별치 않는 상태에서 보고 아는 지혜가 진리 마음공부가 자기와 지구 운명공동체를 살린다. ※사전 학습과 사후 피드백(배운 점, 느낀 점, 실천할 점) 참여도 높은 2분을 선정하여 K-공철학 책을 타인에게 기부하여 다함께 참여토록 활성화 합니다(돈 가는 곳에 마음 간다)
232차 Webinar 본근한(3ㄴ) ================= 본질: 함께 살고 같이 죽는 우리는 원래 하나인 공동체 근거: 망원경(거시)과 현미경(미시)의 자료 한계: 거시/미시적 관점 없이 내 눈에만 보이는 게 세상 전부인 줄 분별하는 무지/무명 상태
K-空철학 32강: 운명공동체 피드백 ====================== 1. 김광석박사 1)배운 점: 협력이 운명공동체의 핵심 2)느낀 점: 연기 세계관인 인드라망으로 세계 전체가 연결되어있다. 3)실천할 점: 끊임 없는 스터디로 신심기운명 득
2. 이경희대표 우리가 원하는 일들이 잘 안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우리 안에 어둠이 너무 많기 때문입니다. 시크릿에서는 감사와 사랑이 부족해서 그렇다고 나옵니다. 우리는 끌어당김이 잘되길 바라고, 보다 큰 것들이 잘 이루어지길 바랍니다. 끌어당김에서 중요한 것은 감사와 용서입니다. 끌어당김은 감사와 용서에 비례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내 안에 감사가 충만할수록, 내 안에 미워하는 마음이 없을 때 좋은 일들은 원하지 않아도 생겨나기 시작할 것입니다. 우리가 좋은 일이 많이 생기게 하는 방법이 또 있습니다. 모든 사람들이 잘되게 하는 마음을 갖는 것입니다. 마음의 힘이라는 책에서도 나옵니다. 내가 잘되기를, 모두가 잘되기를. 시크릿에서도 내가 남을 위해 기도하면 그 순간 그 사람도 나를 위해 기도한다는 내용이 나옵니다. 내가 80억 인류가 잘되기를 기도한다면 그 순간 80억 인류 모두가 나를 위해 기도한다는 것입니다. 끌어당김의 법칙은 마음의 법칙입니다. 마음은 불교에서 근원을 두었다고 하지만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불교이전에도 마음은 있었기 때문입니다. 단지 불교가 마음을 닦는 것을 잘한다는 것이고, 그만큼 깊이가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원하는 일이 잘 되길 바라기 이전에 우리는 다치지 않고, 병들지 않는 게 좋을 수 있습니다. 아무리 백만장자라고 해도 몸이 힘들어 오늘 내일 한다면 모든게 소용이 없습니다. 우리가 해야 하는 것은 아프지 않는 몸을 갖는 것이고, 사고를 당하지 않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내 마음에 어둠이 없는 것이 우리들의 참모습입니다. 진아(참나)입니다. 우리가 일이 잘되고, 사고를 당하지 않고, 아프지 않는 제일 좋은 방법은 내 안에 어둠을 정화하는 것입니다. 일이 잘되고 안되는 것도, 내 몸이 건강하고 아프지 않는 것도 내 안에 밝음과 비례합니다. 우리가 살면서 해야 하는 것은 우리 안에 남을 미워하는 마음을 갖지 않는 것이 제일 중요합니다. 그런데 이것은 수많은 세월동안 우리가 행했던 것들이 우리들의 무의식, 잠재의식에 깊이 박혀있기 때문에 아무리 하지 않으려고 해도 생각나고 생각나게 됩니다. 그래서 우리가 남을 미워하지 않는 마음을 갖으려면 남을 미워하면 제일 힘든 사람은 자신이라는 것을 알아야 하고, 사실 그런 어둠이 실제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차리는데 있습니다. 세상은 어둡습니다. 산불도 나고 있고, 정치에는 서로 싸우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만 보아도 이렇고, 전 세계를 보면 더 끔찍합니다. 세상이 변하고 있습니다. 현시대를 개인주의 이기주의 시대라고 합니다. 진정 잘 살고 건강하게 사는 방법은 남이 잘되게 해주는 데 있습니다. 우리는 모두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알 때 우리는 더 이상 남을 미워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남을 미워하는 것은 곧 자신을 미워한다는 사실을 알 때 우리는 좀 더 마음이 깊어질 수 있습니다.
3. 최관영박사 1)배운 점 : 헌법재판소의 어제 판결문이 오늘 강의 내용의 주제인 "우리 운명공동체의 생존 방향"과 일치한 지혜로운 판결문이었음을 깨달음. -운명공동체의 생존 방향 -> 공유, 개방, 조화, 협력, 균형, 전체 -운명공동체의 멸망 방향 -> 독점, 폐쇄, 대립, 갈등, 편중, 개인 2)느낀 점 : 운명공동체가 양자역학의 양자얽힘과 같이 얽혀 있으니, 작은 노력과 시작으로도 큰 일을 해낼 수 있다. 3)실천할 점 : 내가 가장 잘할 수 있는 창조기술을 선택과 집중하고, 지혜롭게 협력해서 운명공동체와 나눌 수 있도록 하겠다.
4. 이두표대표 1)배운 점 ㅡ건강관리를 체계화하기 위해 데밍 사이클(PDCA: Plan-Do-Check-Act)과 연계해보면 공부하고 믿는 부분은 Plan, 실천은 Do. 습관은 성과 체크인 Check 그리고 개선은 Act과 연계될수 있다는 인사이트를 받았다. 품질개선을 위해 PDCA가 있듯이 우리도 건강사이클을 잘 활용하면 좋겠다. ㅡ‘믿음(信)’과 ‘지식(解)’, ‘경험(行)’, ‘지혜(靈)’를 통해 건강을 지키는 철학적 기반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2)느낀 점 ㅡ건강은 단순히 육체의 관리가 아니라 철학적 사고와 실천이 함께 할 때 비로소 완성된다는 느낌을 받았다. ㅡ나 자신을 더 깊이 이해하고, 내 삶의 중심에 건강을 두어야겠다는 다짐이 생겼다. 3)실천할 점 ㅡ매일 8000보 걷기를 실천하겠다. ㅡ늘 건강 상태와 마음가짐을 점검해야겠다.
5. 이명구대표 1)배운 점 운명공동체의 생존방향은 조화,협력 균형이다 2)느낀 점 옳은 것을 배우며 사랑하며 나누고 전하는 세상이 아닌 세상이 됐다 3)실천할 점 협력과 99%의 행동
6. 이진호박사 - (현) 키키방송국 B2B대표 - (현) 000에너지연구소 연구소장 - (현) 방위사업청 SE 교수, 공학박사 - (전) K-9 자주포/탄약운반장갑차 개발책임자(PM) 1)배운 점 1. K-공철학에서 추구하는 만사형통의 가치 구현은 풍요와 행복과 건강을 한꺼번에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2. 애매모호와 착각은 불신을 일으킨다. - 曖(희미할 애) 昧(어두울 매) 模(본뜰 모) 湖(호수 호) : 말이나 태도 따위가 희미하고 흐려 분명하지 아니함. - 錯(어긋날 착) 覺(깨달을 각) : 어떤 사물이나 사실을 실제와 다르게 지각하거나 생각함 * 원인에 의한 결과가 나타나는것이 우주의 진리이듯, 어떠한 사건이 벌어지면 그 근본원인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애매모호하거나 착각하지말고 본질을 확인하여 냉철하게 판단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2)느낀 점 1. 인간은 4가지 씨가 모여 형성된다. 첫째가 영(靈)으로 창조주의 씨 둘째가 혼(魂)으로 자기 자신의 씨 셋째가 정(精)으로 아버지의 씨, 넷째가 난(卵)으로 어머니의 씨이다. 이 4가지가 합쳐서 어머니의 태 속에서 인간으로 형성된다. 2. 아버지의 정자와 어머니의 난자가 만나 수정을 하여 어머니의 자궁 속에 자리 잡아 배아가 형성된다. 배아는 세포분열을 거듭하여 태아로 자라게 된다. 정자와 난자가 만난 지 49일이 지날 무렵 영과 혼이 육체 속으로 들어온다. 3. 영(靈)은 백회로 들어오고 혼(魂)은 콧구멍으로 들어와 둘이 영혼으로 간뇌에 자리 잡는다. 영혼이 지구에 오는 이유는, 육체를 만나는 게 목적이 아니고 영혼을 수련하는 목적이다. 지구라는 영혼 훈련장에서 영적 진화를 이루기 위해서이다. 4. 지구인의 IQ는 80~200, 우주인은 200~300 정도, 창조주 그룹은 430이상(무한대))이다. 사물에도 지능이 있다(IQ 100억정도) 지구인은 뇌의 1%만 사용할 수 있고 1%가 초과하면 그 영혼은 다른 별로 가게 된다. 5. 생명체는 4가지 형태로 태어난다. 태(胎), 란(卵), 화(化), 습(濕)이 그것이다. - 태생은 사람이나 고래와 같이 포유류가 출생하는 형태이다. 여성 혹은 암컷의 몸속에서 정자와 난자가 만나 태(자궁)에서 일정기간 자라고 출생하는 형태이다. - 난생은 조류나 파충류에서 보듯이 알에서 나오는 형태이다. - 화(化)는 나비와 같이 알에서 애벌레, 번데기를 거쳐 성충인 나비가 되는 순서로 변태하는 동물이다. - 습(濕)은 미생물 등의 하등동물이 번식하는 형태이다. 6. 인간은 아버지의 정자와 어머니의 난자가 여성의 몸에서 만나 자궁에 자리잡고 모체와 연결된 탯줄을 통해 어머니로부터 영양분을 공급받으며 열 달을 태속에서 자란다. 출생 후에도 인간은 말이나 소처럼 바로 걷지 못하며 몇 년 동안을 부모에 의지하여 어머니의 젖을 먹고 자라야 한다. 정신까지 어느 정도 성숙하려면 20여 년 가까이 부모의 도움을 받으며 공부를 해야 한다. 이것이 인간이 다른 동물과 달리 부모의 은공에 보답하여 효(孝)를 해야 하는 이유이다. 3)실천할 점 - 내가 지구에 태어난 존재 목적(지구에서 나의 영혼을 Upgrade 시키고, 삶은 타인을 위한 자리이타 구현)을 명확히 이해하고 이를 실천하는 것에 대하여 매사에 성실하고 진지한 삶을 살아갈 것을 내 자신에게 다짐합니다.
7. 차석근대표 1)배운 점 : 공동체를 위한 배려. 2)느낀 점 : DX, AX를 넘어 SX(영성 전환Spiritual Transformation) 3)실천할 점 : 제조 분야 SX 적용 모델 적용과 표준화 개발.
8. 김재유대표 1)배운 점 -역시 one sentence & one word -우리의 배움은 만사형통 행복추구 거룩으로 온전함이다 -계정혜-지혜 창조 나눔의선순환 -운명공동체 -나, 남, 장내 미생물, 지구 세포, 원수도 사랑-비-온전함 -운명공동체-널뛰기-같이 2)느낀 점 -행복 거룩 꿈 사명 소명 온전함을 위하여 3)실천할 점 덕분 나눔 4)볼 점 -양자역학 2022년 노벨상 -봄 되니 시 한 수해 봄 깨달음-덕분 우리는 차별되게 태어나고 차별되게 혜택 받으나 그 차별을 덕분으로 깨달아 베풀고 나누어 흐름을 만들 때 세상은 봄바람처럼 향기롭고 더 아름다워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