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이란 단순히 보면 몸이 숨쉬고 생각이 작동되는 순간의 연속이며, 죽음이란 뇌사를 지나 숨이 멈춘 심장사 상태이다.
본질로 보면 삶은 에너지가 서로 합쳐 만들어진 인연덩어리였다가 시간이 흐른 후 다시 흩어져 지수화풍 에너지로 돌아가는 게 죽음이다.
나는 Who인가? 나는 Where에서 와서 Where로 가는가? 이런 의문들은 옛날부터 동서양의 수많은 현인들도 명쾌하게 대답하지 못한 너무 어려운 질문이다.
나는 How 존재하고 살아가는가? 이것이 삶과 죽음에 대해 쉽게 접근하고, 적어도 살아있을 때 가치있게 사는 질문 화두이다.
나는 나 아닌 것 도움없이는 살아갈 수 없다.
본인 노력과 주위 도움 덕분에 살아간다. 사는 동안 한결같이 공기, 물, 음식, 주변 인연들이 도와준 덕분에 살고 있으니 매사에 감사하며 존중하지 않을 수 없다.
갑자기 밤새 죽을 수도 있으니 '지금(Now) 여기(Here) 나는 누구이며 무슨 일을 하며 사는가?' 항상 깨어있고(Sati) 알아차리는(Awareness) 명상호흡이 삶과 죽음을 넘어 행복으로 이끈다.
※사전 학습과 사후 피드백(배운 점, 느낀 점, 실천할 점) 참여도 높은 2분을 선정하여 K-공철학 책을 타인에게 기부하여 다함께 참여토록 활성화 합니다(돈 가는 곳에 마음간다)
231차 Webinar 본근한(3ㄴ)
=================
본질: 삶은 시절인연 에너지 뭉침, 죽음은 다시 흩어진 지수화풍 에너지
근거: 에너지의 원천은 빛
한계: 에너지는 태어나고 죽는 게 아니라, 뭉쳤다가 흩어지는 속성임을 올바르게 알면 죽음이 두렵지 않다
K-空철학 31강: 삶과 죽음 피드백
====================
1. 김광석박사
1)배운 점: K-공철학은 "철학+과학+영성"이다
2)느낀 점: 삶은 명상에서 시작한다
3)실천할 점: 능력 확장, 바른 충전
2. 차석근대표
1)배운 점: 명상과 긴 호흡
2)느낀 점: 정심
3)실천할 점: 초지일관(끈기)
3. 이명구대표
1)배운 점: 얽매이지 않는 자유란?
2)느낀 점: 멈추고 바라본다
3)실천할 점: 명상을 통한 지금 여기에 집중
4. 최관영박사
1)배운 점: 바른 관점을 가져야 금강불괴 바른 자유 얻을 수 있다.
2)느낀 점: 行이 99%, 실천해야 한다. 모든 게 내 책임이다.
3)실천할 점: 명상을 통해 나를 내려놓고, 바른 관점으로 덕분주의로 감사충만한 태도를 가지겠다.
5. 이두표대표
1)배운 점
• 무심(無心)의 상태가 진정한 지혜의 출발점이다
• 존재(存在)는 ‘영+혼+육’의 조화로 이뤄진다
2)느낀 점
• 멈추고 바라보는 관점의 전환이 중요하다
• 영감은 배려와 감사에서 온다
3)실천할 점
• 고정관념 없이 상대방을 바라보기('견(見)'이 아닌 '관(觀)'의 마음으로)
• 주변의 도움에 감사하며 작게라도 보답 실천하기(따뜻한 말부터—청소 아줌마/경비원 아저씨-아파트)
6. 김재유대표
1)배운 점
삶과 죽음, 그리고 이를 바라보는 철학적 관점에 대한 깊은 성찰을 배웠습니다. 호흡, 명상, 기도와 같은 실천적 방법론을 통해 삶의 본질과 현재의 순간에 집중하는 태도를 강조했습니다. 특히 긴 호흡, 들숨과 날숨, 복식호흡과 같은 물리적 실천이 정신적 안정과 연결될 수 있음을 배웠습니다.관점의 이동과 패러다임 전환의 중요성합니다. 기존의 틀을 깨고 새로운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것이 필요하며, 이는 단순한 지식의 변화가 아니라 사고방식 자체를 혁신적으로 바꾸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전환은 삶과 죽음이라는 주제에서도 적용될 수 있습니다. 죽음을 기억함으로써 삶을 더욱 빛나게 하고, 현재를 살아가는 데 강한 동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2)느낀 점
삶 속에서 '바른 노력'과 '바른 실천'은 지금 시작되어야 하며, 이는 경청, 이해, 나눔과 같은 구체적 행위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3)실천할 점
김구 김연아 처럼 선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