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空철학 19강: 세상(天When시간世+地Where공간上)

138억년전 빅뱅이 일어나 우주가 탄생하고 46억년전 태양계가 자리잡으며 지구에도 세상이 열렸다. 원자로 구성된 우주와 세상은 物理(제법무아)와 化學(제행무상)으로 작동하다 38억년전 생명이 생기며 生物(일체개고)이 과학 분야로 합류하게 된다.
고차원 철학인 불교의 三法印(3법의 슬로건) 관점에서 諸法無我는 고정되고 독립된 존재는 없어 서로 관계맺고 있으며. 諸行無常은 세상 만물은 영원하지 않고 변화하며, 一切皆苦는 존재하는 모든 것은 괴롭다는 의미이다.
과학과 철학이 서로 다르지 않고 하나로 꿰어져있음을 살펴보고, 세상의 특징을 이해하며 세상에 존재하는 인간이 살아가려는 지혜를 천지인 관점에서 살펴본다.
※사전 학습과 사후 피드백(배운 점, 느낀 점, 실천할 점) 참여도 높은 2분을 선정하여 K-공철학 책을 타인에게 기부하여 다함께 참여토록 활성화 합니다(돈 가는 곳에 마음간다)

219차 Webinar 본근한(3ㄴ)

본질: 나와 우주 존재를 알기위한 도구로 세상경전인 하늘 원리와 땅 법칙
근거: 존재를 깨친 득도 상태의 확신
한계: 제대로 알면 코 만지기 보다 쉽지만 무지와 무명으로 인한 고통으로 시행착오 연속
공철학 19강 피드백 세상(世 When 시간天+上 Where 공간地)
1.
김광석박사
1)배운 점: Application Innovation
2)느낀 점: 깨달아야 한다
3)실천할 점: 복 많이 짓겠습니다
2.
차석근대표
1)배운 점: 고집멸도
2)느낀 점: 투자자 질문(One Page)
3)실천할 점: 실패 경험을 후학에게 남긴다
3.
이두표대표
1)배운 점 -세상은 음양의 순환과 인과의 법칙으로 움직인다. -전체를 이롭게 해야 나에게도 도움과 보상이 돌아온다.
2)느낀 점 -균형과 조화가 중요하며, 이타적인 마음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스스로 돕는 자에게 자연스러운 보상이 따른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3)실천할 점 -감정을 조절하며 균형 잡힌 삶을 살겠습니다. -하루 하루 늘 꾸준히 노력하고 주변을 먼저 돕는다. 협업을 늘 준비하겠습니다.
종합: 자연의 이치를 따르고, 나와 주변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며 살아가겠다.
4.
주민보대표
1)배운 점: Paradigm Shift
2)느낀 점: 투자자가 원하는 바를 찾는 것
3)실천할 점: 전체를 이롭게 해야 나를 돕는다
5.
조용우대표
1)배운 점 : 삼법인(제행무상+제법무아+일체개고)+열반적정=사법인
2)느낀 점 : 사성제(고,집,멸,도=5W1H)
3)실천할 점 : 팔정도(정견,정사유,정어,정업,정명,정정진,정념,정정)
6.
오병운대표
1)배운 점: 고집멸도
2)느낀 점: 생명이 있어서 고통이 존재하나, 이를 제거할 방법이 있다. 즉 팔정도 실행
3)실천할 점: 하루 10분 이런 관점에서 자신 살피기
7.
이진호박사
매주 토요일 아침, 소중한 시간에 온라인 학습을 하는 것은 마음 공부를 통하여 세상 살아가는 이치를 깨달아 가는 공간이다.
1)배운 점
K-공철학을 하는 목적을 한마디로 표현하면 : 대원을 품고 무심에서 한 생각을 일으켜 질문을 통하여 영감을 받아 보답하기 위함이다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의 깊은 의미는 전체를 위한 삶을 살아갔을 때 주어지는 보상이다.
이제부터는 영성혁명 시대가 도래되었다.
기술이라는 것은 내가 모르는 것을 배워서, 손발로 익혀서 만드는 것으로 지혜, 창조, 나눔도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인류 역사의 흐름에 대한 이해(우주, 태양계, 지구, 인간, 과학 등)
2)느낀 점
우주의 시간과 공간은 무한대이며, 창조라는 개념은 인간이 만들어낸 관념의 시간이며, 우주는 영원 이전부터 있었던 것으로 학설이 나오고 있다.
우주에는 지구와 같은 행성이 362무 8800불이 존재하며, 이 무한한 공간 속에서 각자 자신의 영혼을 업그레이드하고, 나름 과학 문명을 발전시켜가면서 나아가고 있지만 각자 쓰는 머리의 %가 다르기 때문에 과학 문명의 한계가 정해져 있다. -우주의 1년은 129,600년이고, 우주의 한 달은 10,800년이다. 우리가 알고 있는 역사라고 하는 것은 (벼를 먹는 사람들이 그치는 것)을 역사라고 칭하고 있다(한자의 풀이) -10,800년마다 지구는 천지개벽을 통하여 경작을 위하여 매년 밭을 갈듯이 뒤집어서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기름과 석탄의 자원을 조달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 모든 지구 역사의 과정은 하늘에서 통제하고 있는 시스템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과정이다
인간은 진화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천지개벽 후 새로운 종을 하늘에서 집단으로 데려다가 지구에 같다 놓고 자신의 영혼을 업그레이드하는 존재로서의 인간에게 주어진 임무이다.
3)실천할 점
이 세상의 모든 과정은 죽을 때까지 공부하는 과정이라 생각하고 지속적인 공부를 통하여 새로운 학문을 발견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매일 매일 꾸준히 노력하고 있지만 더욱 정진하여 위에서 언급한 사항에 대하여 책으로 정립하고자 한다.
8.
양영진대표
고집멸도와 팔정도, 그리고 기술의 활욤
인류는 고대부터 삶의 고통을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왔습니다. 불교의 고집멸도(苦集滅道)와 팔정도(八正道)는 이러한 노력을 체계화한 가르침으로, 삶의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하는 실천적 방법론을 제시합니다.
오늘날 우리는 이러한 지혜를 빅데이터, AI, 시뮬레이션 기술과 결합하여 현대적인 문제 해결과 최적화의 도구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고집멸도와 팔정도의 현대적 해석
고집멸도는 문제를 정의하고, 원인을 분석하며, 해결책을 제시하는 과정을 설명합니다.
1)고(苦): 문제를 직면하는 단계
2)집(集):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는 과정
3)멸(滅): 문제 해결 후의 이상적 상태 정의
4)도(道): 해결을 위한 실행 방법
팔정도는 이 실행 방법을 세분화한 것으로, 올바른 사고, 행동, 노력 등을 강조합니다. 이러한 원칙은 현대 사회의 복잡한 문제 해결에서도 여전히 유효합니다.
현대 기술과 고집멸도의 융합
빅데이터, AI, 시뮬레이션 기술은 고집멸도를 현대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이를 활용하면 문제 해결의 속도와 정확성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1)고(苦): 문제 정의 - 빅데이터로 시작하기 문제를 명확히 정의하기 위해 데이터 기반으로 실체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빅데이터는 문제의 크기와 영향, 패턴을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예)교통 혼잡 문제를 정의하기 위해 이동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법.
2)집(集): 원인 분석 - AI를 활용하여 근본 원인을 탐색하기 AI는 복잡한 문제의 원인을 분석하고 패턴을 발견하는 데 뛰어난 능력을 발휘합니다. 예) 제조업에서 품질 저하의 원인을 AI로 분석하여 생산 공정을 개선하는 사례.
3)멸(滅): 목표 설정 - 시뮬레이션으로 이상적 상태를 설계하기 시뮬레이션 기술은 문제 해결 후의 이상적 상태를 가상 환경에서 미리 구현할 수 있게 합니다. 예) 스마트시티 설계 시 교통 체계를 시뮬레이션으로 최적화.
4)도(道): 실행 - 팔정도의 태도로 기술을 활용하기
올바른 기술 활용(正業), 지속적 개선(正精進), 비판적 검토(正見)를 통해 실행합니다.
기술은 도구에 불과하며,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윤리적 판단과 통합적 사고가 필수적입니다.
빅데이터, AI, 시뮬레이션의 시너지
이 세 가지 기술은 독립적으로 활용될 때보다 서로 연동될 때 훨씬 더 큰 시너지를 발휘합니다.
빅데이터는 문제의 크기와 원인을 정의하는 출발점이 됩니다.
AI는 데이터를 분석하고 문제의 근본 원인을 밝히는 역할을 합니다.
시뮬레이션은 AI가 제시한 해결책을 검증하고, 이상적 상태를 미리 실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기후 변화 대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빅데이터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분석하고, AI로 저감 방법을 설계하며, 시뮬레이션으로 정책의 영향을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최적화와 지속적 개선의 필요성
불교의 가르침은 단순히 문제를 해결하는 데 그치지 않고 더 나은 상태를 지속적으로 추구하도록 권합니다. 이는 최적화와 지속적 개선의 철학과 맞닿아 있습니다.
1)다양한 기준 인정 현대 사회에서는 사람마다 가치관과 기준이 다릅니다. 기술은 이를 통합하여 모두가 동의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시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2)데이터 기반 의사 결정 데이터는 개인적 편견을 제거하고, 객관적이고 정당한 결정을 내릴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합니다.
3)끊임없는 개선 문제를 해결한 뒤에도 개선을 멈추지 않아야 합니다. 기술은 이 지속적 개선의 과정에서 핵심적 역할을 합니다.
고집멸도의 현대적 실천을 위한 제언
고집멸도와 팔정도는 기술의 발전과 결합하여 현대적인 문제 해결 방식으로 거듭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기술이 아니라 이를 사용하는 우리의 태도입니다.
윤리적 판단 기술은 중립적이지만, 그 활용 방식은 우리의 윤리에 달려 있습니다. 팔정도의 올바른 태도는 기술의 남용을 방지하고, 최선의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협력과 공유 문제 해결은 개인이 아닌 집단의 노력으로 이루어집니다. 빅데이터와 AI는 협업의 가능성을 확장하고, 시뮬레이션은 그 협업의 결과를 검증하는 역할을 합니다.
끊임없는 학습 "아는 것은 유한하고, 모르는 것은 무한하다"는 사실을 인식하며, 기술을 활용해 지속적으로 배우고 성장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고집멸도, 팔정도, 기술의 융합으로 더 나은 미래를 만들기
고집멸도와 팔정도는 인간이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고대의 지혜입니다. 빅데이터, AI, 시뮬레이션은 이를 현대적으로 재해석 하고 실천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중요한 것은 문제를 직시하고, 기술과 인간의 협업으로 최적의 해결책을 지속적으로 추구하는 것입니다.
옳고 그름은 절대적이지 않습니다. 그러나 고집멸도와 팔정도의 원칙, 그리고 현대 기술의 힘은 더 나은 세상을 위한 길잡이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9.
유진대표
1)배운 점: 5W1H와 고집멸도의 관계와 세종대왕 해례본 적용
2)느낀 점: K-공철학을 인생지침서로 학이시습 해야겠다고 생각하고 나의 인생 맵을 나의 언어로 만들어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음
3)실천할 점: 작년 10월 20일부터 매일 K-공철학 한-구절씩 묵상하면서 SNS 올리는 것을 꾸준히 하면서 깨달음도 함께 정리해 나가야겠다.
정회장님 덕분에 매일 성장함을 느낍니다. 감사합니다.
10.
양영진대표
금일 정구철 회장님께서 강의하신 고집멸도(苦集滅道)를 문제 해결 프레임워크로 다시 정리해봤습니다.
문제를 알아야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시대가 바뀌어도 변하지 않는 것과 변하지 말아야 할 것을 알고 지키면 어떤 변화가 오더라도 지혜롭게 대응할 수 있음을 재삼 느낍니다.
고집멸도(苦集滅道)는 불교에서 고통을 이해하고 극복하기 위한 체계이지만, 문제 해결의 프레임워크로도 해석하면 다음과 같이 적용할 수 있습니다.
1)고(苦): 문제 인식
현재 직면한 고통이나 문제를 명확히 인식하고 정의하는 단계입니다.
"우리가 해결해야 할 문제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지는 출발점입니다.
2)집(集): 문제 원인 파악
문제가 발생하게 된 근본 원인을 탐구하는 과정입니다.
"왜 이런 문제가 발생했는가?"에 대한 답을 찾는 단계로, 원인 분석과 관련이 깊습니다.
3)멸(滅): 문제 해결 시 모습, 이상(理想)
문제를 해결했을 때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 상태, 이상적인 모습을 정의합니다.
"문제가 해결되었을 때 어떤 모습일까?"라는 이상적인 결과를 상상하고 설정하는 단계입니다.
4)도(道): 문제 해결 방법 제시
설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구체적인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 실행하는 단계입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까?"라는 질문에 대한 실천적 답변입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현대의 복잡한 문제 해결이나 프로젝트 관리에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고는 문제의 범위를 명확히 설정하고,
집은 데이터 분석과 원인 파악을 통해 근본적인 문제를 밝히며,
멸은 목표 설정,
도는 실행 전략과 계획 수립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11.
임웅빈대표
1)배운 점
돈깨자 맵에서 "세상" 위치,세상 경전 "존재(철학)와 기술(과학)", 투자자 질문 One Page & One Sentence 중요성 이해
2)느낀 점
자기 업무만 잘하면 되는(본인 노력) 업무 방식 탈피, 먼저 나눔 기술 필요
3)실천할 점
내 역량으로 도움 주고 타인에게(주위) 도움 받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