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한국은 2.9% 성장했는데 일본은 3.1% 성장했고 미국과 중국도 성장하고 있어 새로운 전략이 필요한데, 과거 90년대 초고속망전략과 유비쿼터스전략을 참고해서 최근 AI시대가 열리고 있어 이에 대응해서 새로운 강국으로 나아가기위한 국가전략 차원에서 인재양성, 스타트업, 시장창출, 기술혁신, 글로벌 등 10대 도전과제를 소개하고 실행방안을 토론하고자 함.
193차 Webinar 본근한(3ㄴ)
본질: AI라는 새로운 기회 등장. 94년 웹브라우저 인터넷이 등장할 때처럼 새로운 기회요인이 등장해서 개인, 기업, 정부 나아가 국가차원의 기회가 되고 있음. 유니콘들이 속출하고 한국도 다양한 API들이 쏟아져 나와 일자리, 부가가치, 발전요소로 작용
근거: 생산성이 탁월. 현재 인터넷경제 보다 양적으로 투입대비 성과가 우수하고, 요소생산성 또한 우월함. MS나 Nvidia 주가가 이를 보여줌. 종전 메모리 중심에서 이제는 HBM이나 로직반도체, 서버도 GPU, 시스템도 클라우드로 전환하여 게임의 룰이 바뀌고 있음
한계: 환각 hallicination 가장 큰 문제. RAG로 풀고 있으나 이를 푸는 기업 모델이 결국 승자가 될 것. 데이타나 보안같은 우려가 지적되고 있기도 함